내 집 마련의 첫걸음, 바로 청약입니다.

청약제도 중 가점제는 무주택기간, 부양가족 수, 청약통장 가입기간 등을 기준으로 점수를 산정해 당첨자를 뽑는 방식이에요. 그런데 이 점수 계산이 생각보다 복잡하다 보니, 직접 계산할 수 있는 청약가점 계산기를 활용하는 것이 가장 편리합니다.

이번 글에서는 청약가점 계산기를 활용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알려드릴게요.


✅ 청약가점 계산기란?

청약가점 계산기는 본인의 무주택기간, 부양가족 수, 청약통장 가입기간 등을 입력하면 자동으로 점수를 계산해주는 서비스입니다. 이를 통해 본인의 청약 경쟁력을 미리 확인할 수 있죠.


청약가점계산기 사용법(무료)

1. 무주택기간 선택하기

첫 번째 항목은 무주택기간입니다.

  • 미혼자의 경우 만 30세부터 무주택기간을 계산합니다.
  • 결혼을 했다면 혼인신고일로부터 산정합니다.
  • 과거에 주택을 소유한 적이 있다면, 처분한 이후 무주택자가 된 날을 기준으로 합니다.

👉 무주택기간이 길수록 높은 점수를 받을 수 있어요.


2. 부양가족 수 입력하기

두 번째는 부양가족 수입니다.

  • 배우자는 기본적으로 부양가족에 포함됩니다.
  • 동일 주민등록등본에 3년 이상 등재된 부모·조부모도 인정됩니다.
  • 자녀의 경우 미혼만 부양가족으로 인정되며, 만 30세 이상은 1년 이상 세대에 함께 등재되어 있어야 합니다.

👉 부양가족 수가 많을수록 높은 점수를 받을 수 있습니다.


3. 청약통장 가입기간 입력하기

세 번째는 청약통장 가입기간입니다.

  • 청약저축, 청약예금, 청약부금 등 가입일을 기준으로 계산됩니다.
  • 미성년자로 가입한 경우 5년까지만 인정됩니다.
  • 2024년 7월부터는 청약규정 개정으로 인정기간 산정 방식이 조금 달라졌으니 주의하세요.

👉 최대 17점까지 인정되는 중요한 항목입니다.


4. 배우자 청약통장 가입기간 점수

마지막으로 배우자의 청약통장 가입기간 점수를 입력합니다.

  • 배우자의 가입기간 점수는 50%만 인정됩니다.
  • 최대 3점까지 반영 가능하며, 본인과 합산하여 17점이 상한선입니다.

5. 가점 계산 결과 확인하기

모든 항목을 입력하면 자동으로 청약가점 점수가 계산됩니다.

  • 무주택기간 (최대 32점)
  • 부양가족 수 (최대 35점)
  • 청약통장 가입기간 (최대 17점)
    👉 총 84점 만점

본인의 점수가 몇 점인지 확인하고, 최근 당첨자 커트라인과 비교해보면 당첨 가능성을 대략적으로 가늠할 수 있습니다.


✅ 마무리

청약가점 계산기를 활용하면 복잡한 규정을 하나하나 따지지 않고도 간단하게 본인의 점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단, 입력한 내용이 사실과 다를 경우 불이익이 발생할 수 있으니 반드시 실제 기준에 맞게 입력해야 합니다.

내 집 마련을 꿈꾸는 분들이라면 꼭 한 번 사용해 보세요!